
[라포르시안] ‘조용한 뼈 도둑’으로 불리는 골다공증 환자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고령화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3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인재근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질병관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골다공증 진료 환자가 2018년 97만2,196명에서 2022년 118만1,805명으로 늘었다. 지난해 기준 골다공증 진료환자를 성별로 보면 여성이 111만 5,060명으로 약 94.4%를 차지했다. 남성은 6만 6,745명으로 약 5.6%를 차지했다.
골다공증의 주요 원인으로는 노화와 호르몬 변화가 꼽힌다. 특히 폐경기에 여성호르몬이 감소하면 골밀도를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골다공증 치료환자 중 여성이 남성보다 월등하게 많은 이유이기도 하다.
2022년을 기준으로 49세 미만 골다공증 진료환자를 성별로 나눠보면 남성은 5,283명, 여성은 2만 4,532명이다. 50대에 들어서면 여성 골다골증 진료환자가 남성보다 22배 이상 많아지는 것으로 집계됐다.
60대 골다공증 진료환자는 성별 차이가 약 25.8배까지 벌어진다. 70대(약 14.1배), 80대(약 12.1배) 골다공증 진료환자에서도 10배 넘는 차이가 났다.
골다공증 환자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지만 골다공증 진료지침 개발·보급 관련 2024년도 예산이 전액 삭감된 것으로 확인됐다.
질병관리청 만성질환 진료지침 개발 사업은 만성질환의 초기단계를 담당하는 일차의료기관의 의료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도입됐다. 지금까지 고혈압, 당뇨병, 만성폐쇄성폐질환 등 다양한 만성질환 진료지침을 개발해 일차의료기관에 보급했다.
질병관리청은 올해 1월부터 골다공증 진료지침 개발을 시작했다. 올해 소요예산은 약 2억원이다. 하지만 내년에는 이와 관련된 예산이 반영되지 않으면서 진료지침 개발 성과도 없이 사업이 끝날 처지다.
인재근 의원은 “골다공증은 골절 등 큰 사고로 이어지기 쉽지만 그 자체로는 통증과 증상이 없어 조기 검진 및 예방이 필수적이다. 그만큼 평소에 꾸준한 관심이 중요하다”며 “정부는 골다공증을 비롯한 만성질환 관리에 보다 적극적인 의지를 보여야 하며, 관련 사업 필요성을 다시 검토해 내년도 예산에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