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포르시안] 남성 불임 진료 환자 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평균 진료비도 지속해 늘고 잇어 건강보험 급여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전혜숙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서울 광진갑)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받은 ‘남성 불임 진료 현황’자료에 따르면 지난 5년간 남성 불임 진료 환자 수는 2018년 7만8,370명에서 2022년 8만5,713명으로 약 10%가량 증가했다.
2023년 6월 기준 남성 불임 환자는 49,039명으로 집계되어 증가세는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연령별로는 30대가 5%, 40대 20%, 50대 33%가 증가하는 등 30~50대 진료 인원이 빠르게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남성 불임 환자의 평균 진료비 증가세도 커지고 있다. 평균 진료비는 2018년 약 12만 9000원 정도였지만 2022년은 약 14만 6000원 정도로 증가했으며, 나이가 많아질수록 평균 진료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표적인 난임 시술인 ‘보조생식술’을 받은 남성 환자가 2018년 5만3,933명에서 2022년 6만4,975명으로 20%가량 증가했다.
전혜숙 의원은 “아이를 갖고 싶어도 못 갖는 안타까운 현실은 반드시 해결되어야 하는 과제라고 생각한다”며,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난임 환자를 지원하는 보다 적극적인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김상기 기자
bus19@rapportian.com
다른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