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포르시안]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병원장 이재협) 이비인후과 김영호 교수가 최근 '치유의 캔버스(군자출판사)'를 출간했다. 

'치유의 캔버스'는 단순한 의학이나 미술 해설서가 아니라 의료 현장에서 얻은 통찰을 바탕으로 예술과 치유를 연결한 에세이 형식 책이다. 김 교수는 예술 감상으로 환자뿐만 아니라 의료인 스스로의 내면까지 치유할 수 있다는 관점을 바탕으로, 미술작품 속 고통과 회복의 서사를 환자 삶에 비춰 담아냈다.

이 책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김 교수가 실제로 진행한 강의 내용을 바탕으로 구성했다. 김 교수는 2015년 의예과에서 <세계 예술 속 의학의 이해>라는 교양 강좌를 개설한 이후 2017년부터는 의학과 본과생을 대상으로 <예술작품 속 인간: 질병과 치유에 대하여>라는 심화 강좌를 운영해 왔다. 이 책은 그 강의에서 다룬 예술 작품과 주요 주제를 엮어낸 결과물이다.

책에서도 다양한 예술 작품을 의학적 관점으로 조망하며 삶의 이야기와 감정을 풍부하게 전달한다. 미술의 심미성과 상징성을 이용해 환자와 의료인 모두에게 심리적 치유와 성찰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이 흥미롭다.

책의 1부에서는 특정 주제를 중심으로 한 작품 감상과 해석을, 2부에서는 서로 다른 작품들을 비교 분석하는 구성했다. '비만은 건강에 얼마나 안 좋을까?', '시신에게도 인권이 존재하는가?', '고흐의 밤하늘은 왜 소용돌이치고 있을까?', '치료할 방법이 없을 때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전능의 힘으로 이룬 사랑을 사랑이라 부를 수 있을까?'등 흥미로운 질문을 던지며 작품을 매개로 삶과 질병, 인간성에 대한 다양한 성찰을 유도한다. 

이 책은 예술에 관심 있는 일반인뿐 아니라, 의료인의 감수성과 공감능력을 기르는 데에도 효과적인 지침서가 될 수 있다. 작품 선정은 널리 알려진 고전 명작보다는 저자가 직접 감동을 받아 교육적으로도 의미 있다고 판단한 작품들로 했다. 주로 서양 중세 말기부터 근대 초기 미술을 중심으로 선정했다.

저자는 서문에서 "의학생들은 지식 이상의 감성과 공감능력이 필요하다"며 "인문학적 토론과 예술 감상을 통해 인간다움과 진정한 의료인의 품격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