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포르시안] “완벽해야 해!”라는 말은 청소년들에게 외모에 대한 집착으로 이어지고 결국 어느 순간 먹는 것조차 두려워하게 만든다. 이는 정신 건강과 신체 건강을 동시에 위협하는 보이지 않는 위험으로 다가오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4년 섭식장애 중 하나인 거식증으로 진료받은 환자 가운데 10~19세 청소년 환자 비율은 절반에 달한다. 성별로는 남성 환자가 2525명인 반면 여성 환자는 1만 1885명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섭식장애는 음식 섭취 행동에 이상이 생기는 정신 건강 질환으로 체중이 표준체중의 80% 이하거나 체질량지수(BMI)가 17 이하일 때 의심해 봐야 한다. 섭식장애의 대표적 유형으로는 ‘신경성 식욕부진증’과 ‘신경성 대식증’이 있다. 신경성 식욕부진증은 음식을 극단적으로 제한해 체중이 급격히 감소하는 질환이며, 신경성 대식증은 반복적인 폭식 후 구토나 설사약·이뇨제 남용 등으로 이어져 신체에 큰 부담을 준다.
특히 청소년기는 신체적 변화뿐 아니라 심리적으로도 불안정한 시기로 외모에 대한 집착, 또래 관계에서의 스트레스, SNS·미디어 영향 등 다양한 요인이 섭식장애 발생 위험을 높인다.
섭식장애는 단순한 식습관 문제가 아니라 자존감 저하, 우울, 불안과 같은 정신 건강 문제와 밀접하게 연결된다는 점에서 조기 발견과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김수진 고대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섭식장애는 음식 섭취 문제를 넘어 청소년기의 정신 건강과 깊이 연결돼 있어 조기 치료가 이뤄지지 않으면 우울증, 불안장애은 물론 심한 경우 자살 위험까지 높아질 수 있다”며 “청소년 스스로도 자신의 감정과 신체 변화를 살피고 변화가 나타나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