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포르시안] 스마트 기기에서 인공지능 모델과 대화를 나누는 것만으로 뇌졸중과 같은 뇌혈관 질환의 이상 신호를 조기에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 공개됐다.
삼성서울병원은 신경과 서우근 교수가 지난 14일 열린 ‘IN SILICO에서 환자로’ 심포지엄에서 미래형 건강관리 서비스 구현을 위한 기반 기술을 설명했다고 24일 밝혔다.
삼성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안산병원, 서울아산병원, 한양대학교구리병원, 인천대학교가 참여해 한국연구재단 지원 아래 3년간 공동 연구를 수행했다. 기술은 피지컬 AI 분석으로 얻은 생체 기반 건강 신호를 대규모 언어모델과 결합해 스마트 기기에서 대화형 상담을 제공하는 구조다. 별도 장비 없이 맥박 측정이나 발음 이상 감지 등의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광혈류 기반 생체 신호 측정과 같은 센서 기술을 비롯해 전자의무기록과 MRI 영상 등 의료 데이터를 통합 분석하는 멀티모달 뇌혈관 질환 예측 모델도 포함됐다. 연구팀은 의료기기 적용 가능성까지 고려해 개발을 진행했다.
연구 과정에서는 대규모 언어모델이 가진 환각현상 문제를 제거하기 위한 데이터 관리 모델을 적용했다. 약 300회 반복 평가에서도 환각현상이 관찰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서우근 교수는 “이번 연구의 철학은 Care me at home으로 최신 인공지능 기술이 실제 일상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췄다”며 “개발된 기술을 실제 환자에게 환류하기 위한 해답을 찾고자 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기획 초기부터 환자와 소비자 그룹을 파트너로 참여시키고, 이들의 의견을 설계와 검증 전 과정에 반영한 점을 기존 기술과 구분되는 요소로 꼽았다.
서 교수는 “이번 연구는 삼성서울병원·고려대학교안산병원·한양대학교구리병원의 임상·생체신호 데이터, 서울아산병원의 윤리·법적 자문, 인천대학교의 인공지능 모델링이 모두 결합된 결과”라며 “각 기관의 기여가 기술을 환자 일상에 연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현재 국내 특허 1건이 등록됐으며 연구팀은 의료 현장과 환자 적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후속 연구를 이어갈 계획이다.
